구글 애널리틱스 스터디 노트(8)
-
스터디 노트 [8일차]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/ P. 351 ~ 372 / chapter 12
Do-it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. 저처럼 GA 초보이신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! 같이 공부해봐요 :) ☞ 모든 챕터를 공부하면서 계속해서 반복 연습을 해야 알맞은 보고서를 찾고, 세그먼트나 필터를 적시적소에 사용해 데이터를 분석할 때 도움이 될 것 같다! 복습을 계속해서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:) [12-1] 시각화 보고서로 분석하기 1) 시각화 보고서 -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보고서 2) 유입 경로 시각화 vs 목표 흐름 차이점 1. 목표 흐름 보고서는 샘플링된 데이터 사용 2. 목표 흐름 보고서는 세그먼트를 적용할 수 있어서 이를 활용해 다양한 분석을 시도할 수 있음 [12-3] 다채널 유입..
2021.03.30 -
스터디 노트 [7일차]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/ P. 315 ~ 349 / chapter 11
Do-it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. 저처럼 GA 초보이신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! 같이 공부해봐요 :) ☞ 구글 옵티마이즈를 통해 메인 페이지 개선을 위한 A/B테스트를 처음 진행해 보았다. 처음 해봐서 좀 익숙지 않아 좀 더 연습해봐야겠다! [11-1] 페이지 분석하기 1) [행동 - 사이트 콘텐츠 - 모든 페이지] 보고서 → 페이지를 분석할 때 자주 쓰는 보고서 / 측정 기준은 '페이지' 2) page path URL 주소에서 도메인 네임 (www.sample.co.kr)을 제외한 뒷부분을 의미 3) 평균 페이지에 머문 시간이 오래 머물렀다고 좋은 것은 아님 → 페이지의 성격에 따라 판단해야 함 [1..
2021.03.30 -
스터디 노트 [6일차]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/ P. 257 ~ p.313 / chapter 9 ~10
Do-it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. 저처럼 GA 초보이신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! 같이 공부해봐요 :) ☞ 이탈률과 종료율 계산을 열심히 해봤다. 헷갈리지만 연습해보니 개념이 자리 잡힌 것 같다! [09-1] 측정 기준과 측정 항목 1) 데이터는 '측정 기준의 측정 항목은 무엇이다'라고 읽음 2) 측정 기준 - 디멘션 (dimension) , 측정 항목 - 메트릭 (metric) [09-2] 측정 기준과 조금 더 친해지기 1) 드릴 다운 분석 (drill down analysis) ex) 1차원, 2차원, 3차원으로 차원을 늘려 가며 원인을 찾아 들어가는 분석 과정이 채굴 과정과 비슷하다고 해서 저렇게 부름 [09..
2021.03.29 -
스터디 노트 [5일차]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/ P. 214 ~ 253 / chapter 7~8
Do-it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. 저처럼 GA 초보이신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! 같이 공부해봐요 :) ☞ 이번 공부한 부분은 나머지는 공부하기 쉬웠는데 구글 태그 매니저 부분이 아무래도 처음 하다 보니까 이해하기 조금 어려웠다ㅠㅠ 연습... 계속해야 될 것 같다 [07-1] 대시보드 1) 위젯 설정에서 표준은 날짜를 조정하며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, 실시간은 GA 실시간 보고서와 같이 지금 현재 상황을 드러내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 [07-2] 맞춤 보고서 1) 맞춤 보고서 유형은 총 3가지 탐색기 - 측정 기준을 드릴 다운으로 설정 (드릴다운 : 첫 번째 조건을 골라야 이에 따라 두 번째 조건이 활성화되는 구조를..
2021.03.28 -
스터디 노트 [4일차]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/ P.178 ~ 212 / chapter 6
Do-it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. 저처럼 GA 초보이신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! 같이 공부해봐요 :) ☞ 세그먼트와 검색의 각 내용은 이해했지만,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게 좀 어려웠다. 꾸준히 연습을 해봐야될 것 같다! [06-2] 세그먼트 1) GA 보고서는 세그먼트를 총 4개까지 적용할 수 있다 [06-4] 검색 1) ★ 검색 VS 세그먼트 검색 - 수많은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를 찾아내는 작업 세그먼트 - 사용자를 특정 기준으로 분류하는 작업 [06-5] 데이터 표시 유형 1) 데이터를 읽는 색다른 차트 유형 ① 파이차트 - 점유율을 확인할 때 유용 ② 가로 막대 차트 - 항목별로 수치를 단순 비교..
2021.03.28 -
스터디 노트 [3일차]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/ P.104 ~ 176 / chapter 4~5
Do-it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. 저처럼 GA 초보이신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! 같이 공부해봐요 :) ☞ 5단원에서 보고서 종류와 특징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원하는 데이터가 어느 범주에 있는지 찾는 게 어려워서 실습과 1분 복습으로 스스로 찾아내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! [04-1]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략 세우기 1) 핵심 성과 지표 (Key performance index, KPI) → 목적의 달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지표 + 지표가 갖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측정 가능성 2) 데이터 수집 계획 세우기 ① 목표 달성을 위한 유입 경로 설계하기 → 사용자가 어떤 중간 경로를 거쳐 구매 완료 ..
2021.03.27